[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의 용산공원을 조속히 조성하겠다고 밝히자 환경단체는 ‘그간의 논의 과정을 모르는 졸속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윤 당선자는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용산 집무실 주변에 수 십 만평 상당의 국민 공원 공간을 조속히 조성해 임기 중 국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오는 6월 미군기지 4분의 1에 해당하는 부지를 반환받으면 즉시 시민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신수연 녹색연합 팀장은 23일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과 인터뷰에서 “그간의 미군기지 반환 절차, 논의 경과 기간, 사회적 과제 등을 검토하지 않고 졸속으로 입장을 내 우려된다”고 말했다.

23일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 유튜브 화면 갈무리

신 팀장은 “용산공원 조성 담당부처인 국토부가 2016년 미군으로부터 부지를 다 반환받고 2027년까지 공원 조성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지난해 12월 수정했다”며 “만약 올해 다 부지를 돌려받아도 현 계획상으로 7년이 걸리기에 임기 내 공원조성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2021)’에서 “기존 계획에서는 2016년 전체 기지 반환이 완료되는 것을 가정하고 2027년 공원 조성완료 및 개원이라는 단계별 계획을 수립했지만, 기지 반환 시점을 ‘N년’으로 설정하고 ‘N+7년 개원’으로 계획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기지 반환이 계획보다 늦어지자 반환 일정을 아예 ‘N년’으로 불확실하게 잡아놓고, 반환 시점으로부터 7년 뒤 공원 개원을 하겠다고 한 것이다. 해당 계획대로라면 올해 모든 기지가 반환돼도 2029년에야 공원 개원이 가능하다.

심 팀장은 반환받을 부지의 크기를 묻는 질문에 “축구장 기준 284개 정도인 203만㎡로 여의도보다 작다. 다만 조성될 용산공원의 경우 기지 주변의 공원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면 약 300만㎡로 여의도보다 조금 넓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반환된 부지는 지난달 반환받은 부지까지 포함해 10.7%(21만8000㎡)다.

신 팀장은 “미군기지 반환이 지연되는 이유는 환경오염 처리 문제 때문”이라며 “저희가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용산 미군기지 전체에 기름유출 사고가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이걸 정밀조사하고 토양정화작업까지 최소 3, 4년은 걸릴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 팀장은 "부지 반환 협상과정을 계기로 미군이 국내 환경법을 준수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사회적 과제가 있다"며 "급하다고 이런 절차를 건너 뛰게 되면 한국 정부가 환경 문제를 다 책임질 수 있는 상황이 된다"고 우려했다.

‘6월에 공원 조성을 시작할 수 있다’는 윤 당선자의 주장에 대해 신 팀장은 “도심 안에 대규모 녹지공간을 만드는 것은 거의 마지막이 될 것”이라며 “어떤 공간을 만들지에 대해 많은 시민, 전문가, 관련 기관이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황에서 갑자기 윤 당선자가 갑자기 용산을 쓰겠다는 것은 제왕적인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신 팀장은 “미군기지 반환 절차를 통해 100년 이상 아무도 들어가지 못했던 군사기지가 공공의 공간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라며 “(용산공원 조성에)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위기 등과 같은 담론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