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코로나19 백신의 신뢰도를 떨어트리는 언론 보도는 지속되고 있다. 언론이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나오면 사실관계 확인 없이 무분별하게 속보를 남발하고, 일부 전문가 발언만 인용해 한정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는 <코로나19 보도 점검 미디어와 백신 : 방역과 방해 사이> 토론회를 개최했다.

<코로나19 보도 점검 &#8211; 미디어와 백신 : 방역과 방해 사이> 토론회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유튜브 갈무리)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론은 국민에게 집단면역이 형성될 때까지 함께 나아가야 한다”며 “당초 백신 효과성에 대해 의심해본 적 없지만 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생겼다”고 털어놨다. 유 교수는 백신에 대한 의문이 생긴 배경으로 언론 보도를 지목했다.

유 교수는 언론이 백신과 관련해 단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언론이 아스트라제네카 등 특정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고정관념을 유도하고 있으며 자극적인 보도를 이용자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고 있다고 것이다.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발생하면 속보가 남발된다. TV조선, MBN 등은 “노르웨이에서 화이자 백신을 맞고 29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에서 백신 맞은 80대 노인이 또 숨졌다”고 보도했다. 사망에 대한 인과관계가 설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청자의 불안감을 부추긴 것이다. 유 교수는 “별다른 설명 없이 단편적 정보를 보도하면 팩트 이상의 공포가 생겨 백신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언론에 노출되는 코로나19 전문가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유 교수는 “특정한 언론사에만 등장하는 코로나19 전문가가 있다”며 “언론은 전문가 발언을 인용하려면 다양한 사전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그런 부분이 결여된 것 같다”고 밝혔다. 유 교수는 “대립하는 이견을 가진 전문가가 있는 만큼 모든 정보를 빠짐없이 보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언론이 백신에 대한 아젠다 세팅을 하면 이용자는 이를 믿거나, 회자하는 경향이 있다”며 “따라서 언론은 자신들의 보도에 공익적 기능이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 교수는 언론이 기사 작성 시 검증된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명확한 사실관계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언론은 전문가에게 단정적인 답을 원하지만 의학적으로 이상 반응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선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며 “결론적으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이득은 명백하다. 하지만 백신 이상 반응에 대한 언론의 속보는 야속할 정도”라고 토로했다.

정 교수는 “이상 반응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선 수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기사 제목은 사건의 본질을 담고 있지 못하다”며 “언론은 시민들에게 정확한 판단 근거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준일 뉴스톱 대표는 최근 불거진 ‘불가리스 논란’에서 언론의 게으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불가리스 연구 분석은 어려운 게 아니다”라며 “연구 방법론만 봐도 이상하다고 느껴야 했다. 하지만 언론은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연합뉴스, 뉴시스 등 통신사가 불가리스 연구 결과를 기사화하면서 관련 보도가 넘쳐나기 시작했다”며 “이게 올바른 코로나19 보도 방식인가. 통신사는 코로나19 보도 방식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임동준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모니터팀장은 언론사에 체질 개선을 요구했다. 임 팀장은 “코로나19 확산 1년이 지났지만 언론 보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뉴욕타임스 사례를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코로나19 발생 후 편집국 부서를 허물고, 다양한 부서의 기자들이 코로나19 분석에 나섰다.

임 팀장은 “한국 언론이 뉴욕타임스를 무조건 따라갈 필요는 없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달라질 것이 없다”며 “우선 주요 언론사마다 코로나19 전문기자를 최소한 한 명씩은 배치해야 한다. 전문기자가 코로나19와 관련해 데스킹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는 언론이 ‘감시’와 ‘불신 초래’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부 감시는 당국의 소통 혼선, 불명확한 정보 등을 지적하는 것”이라며 “전문가들이 검토를 끝마친 백신에 대해 불신을 조장하는 건 감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