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언론인의 기사거래 및 금품·향응 수수 등이 담긴 '박수환 문자'에 침묵하는 주요 언론사에 '무보도' 이유를 묻는 질의서를 발송했다. 민언련은 '박수환 문자'로 드러난 비위 언론인 문제에 침묵을 이어가는 언론들을 향해 "비위의 대상이 사법부·국회·청와대·일반 시민이었다면 지금처럼 침묵했을 건가"라고 따져물었다.

민언련은 지난 20일 조선일보를 제외한 전국단위 9개 일간지, 6개 경제지, 7개 인터넷 언론, 지상파 4사, 종편 4사, 보도전문채널 2사 등 32개 주요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보도본부장 등에게 '박수환 문자' 사태에 대한 '무보도'의 이유를 묻는 질의서를 발송했다. 민언련은 조선일보의 경우 '박수환 문자'로 드러난 자사 비위 언론인에 대해 '면죄부'를 준 것이라 판단, 질의대상에서 제외했다. 조선일보 윤리위원회는 지난 12일 이들이 윤리규범을 위반한 것은 맞지만, 규범위반을 소급적용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탐사보도 전문매체 뉴스타파는 지난 1월 28일부터 8차례에 걸친 <'로비스트' 박수환 문자> 연속 보도를 통해 박수환 전 뉴스커뮤니케이션즈 대표와 언론인들 사이 금품수수 및 기사·인사 청탁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탐사보도 전문매체 뉴스타파는 지난 1월 28일부터 8차례에 걸친 <'로비스트' 박수환 문자> 연속 보도를 통해 박수환 전 뉴스커뮤니케이션즈 대표와 언론인들 사이 금품수수 및 기사·인사 청탁 의혹을 제기했다. 35개 언론사 179명의 언론인이 '박수환 문자'에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언련은 22일 낸 성명에서 "‘박수환 문자’ 속 비위 언론인 문제에 대한 기이한 침묵"을 멈추라고 비판했다. 민언련은 "권력 감시가 소명인 언론들이 언론과 기업의 유착 문제에 대해 약속이라도 한 듯 '무보도'를 계속하고 있다"며 "'초록은 동색', '가재는 게 편'이기 때문에 언론이 침묵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설득력을 얻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민언련은 뉴스타파 보도가 시작됐던 1월 28일부터 3월 12일까지 주요 언론사의 '박수환 문자' 관련 보도량을 확인했다. 그 결과 전국단위 일간지에서 ‘박수환 문자’ 사건을 전한 유일한 기사는 한겨레(온라인) 뿐이었다. 6개 경제지와 지상파 4사, 종편 4사, 보도전문채널 2개사에서도 관련 기사는 전무했다(방송종편 기사는 저녁종합뉴스로 한정).

민언련은 "만약 '비위'의 대상으로 지목된 집단이 언론이 아닌 사법부였다면, 국회였다면, 청와대였다면, 일반 시민이었다면 언론은 지금처럼 침묵했을까. 단언하건대 결코 아닐 것"이라며 "가장 준엄한 목소리로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미온적인 대처를 질타하고 나섰을 터다. 지금 '왜' 언론의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지 언론은 답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질의 대상인 32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보도본부장들에게 "왜 자사 언론인의, 동료 언론인의 비위에 침묵하길 선택했는지, 보도 책임자로서 진지하게 답하길 바란다"고 답변을 촉구했다.

다음은 민언련이 질의서를 발송한 32개 언론사 명단

· 전국단위 9개 일간지 :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 6개 경제지 : 매일경제, 서울경제, 아시아경제, 한국경제, 헤럴드경제, 머니투데이

· 7개 인터넷 언론 : 머니투데이, CBS노컷뉴스, 뉴스1, 뉴시스, 민중의소리,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 지상파 4사 : KBS, MBC, SBS, OBS

· 종합편성채널 4사 : TV조선, JTBC, 채널A, MBN

· 보도전문채널 2사 : YTN, 연합뉴스TV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