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명구가 무색해진 지 오래다. 하지만, 그 잊혀진 독서의 계절을 뜻밖에도 부추기는 건,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라며 정현종의 시 '방문객'으로 사랑의 시작을 알리는 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이다. 그러나 <이번 생은 처음이라>를 문학적으로 만드는 건 드라마 곳곳에서 인용되는, 독서의 욕구를 부추기는 문학작품들 때문만은 아니다. 어쩌면 이 시대의 문학이 무색하게도, 자신을 투영하고 직시하며 반성할 수 있는 '문학적 역할'을 드라마가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문학보다 더 '문학적'이다.

사람이 온다, 그의 19호실과 함께

남세희(이민기 분)와 윤지호(정소민 분)가 계약결혼을 통해 사랑의 문을 열기 시작한 것을 드라마는 정현종의 '방문객'으로 알렸다. 그저 월세 세입자가 필요했고, 몸 뉘일 방이 필요했던 두 사람은 본의 아니게 한 공간에서 살며, '사랑'하지 않는다는 편의적 이유로 성큼성큼 서로의 삶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tvN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하지만 이 정도만 되어도, 정현종의 '방문객'은 그저 사랑의 문학적 수사로 그칠 수 있었다. 가랑비에 옷 젓듯이, 그러나 때론 옷과 가방을 집어 던진 채 그 사람을 지키기 위해 비싼 오토바이를 부수는 걸 감수하고, '갈음'이란 표현에 섭섭해 하고 상처주고 싶어 하며 가까워지던 두 사람은 결국 진짜 '키스'를 통해 사랑의 통과의례를 겪어간다. 그리고 사랑하며 그 사람의 세계에 성큼성큼 발을 들이니 거기엔 남세희의 집에 마주한 두 사람의 방처럼, 이십여 년 혹은 삼십팔 년을 웅크리고 살아왔던 각자의 19호 실에 맞닥뜨리게 된다.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란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들 해왔다. 이 이상한 수학 공식에는 홀로 맞서기 힘든 세상을 두 사람이 힘을 합쳐 하나가 되어 함께 헤쳐 나간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이 부부의 하나 됨이 하나의 가족을 만들고, 그 가족이 이 사회의 가족주의, 때로는 전체주의의 바탕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2017년의 젊은이들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그런 '가족'을 이룰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다. 그런데,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그런 사회경제적 이유를 넘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지금까지 '우리'라 정의 내려진 그 명제에 대해 새로운 이견을 제시한다.

그 이견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건 바로 연애 7년차, 아니 전 연인인 양호랑(김가은 분)과 심원석(김민석 분) 커플에게서이다. 한 통장에 미래의 꿈을 부으며 원석의 자수성가와, 그를 통한 성공적 결혼과 안락한 가정을 꿈꾸던 호랑-원석 커플은 7년차에 이르러서도 앱 개발에 성공하지 못해 미래를 보장할 수 없는 원석의 사회경제적 처지로 인해 흔들린다. 호랑을 위해 자신의 꿈을 접고 선배 회사에까지 들어갔지만, 호랑이 원하는 결혼까지 하려면 5년을 더 기다려 달라는 원석의 요구에 호랑은 절망한다. 그리고 결국, 원석은 자신이 호랑을 행복하게 해줄 수 없다는 이유로 이별을 통보하고 호랑은 원석의 집에서 짐을 뺀다.

너와 내가 구분되지 않고 연인이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져온 두 사람. 하지만 7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두 사람의 이해는 쉽게 만나지지 않는다. 연애는 좋지만 결혼은 물음표라는 원석과, 결혼이라는 골문을 향해 모든 과정을 감수했던 호랑의 이해관계는 결국 매번 어긋나고 만다. 원석이 자신의 꿈을 포기해도 쉽사리 합의에 도달할 수 없는 이 커플은 결국 7년차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각자 자신을 직시하기에 이른다.

19호실에서 나와 사랑의 광장에서

tvN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호랑, 원석 커플의 파경은 결국 더 이상 그 옛날 단칸방에 함께라는 이유로 행복하던 그 시절의 결혼이 이 시대에 유효하지 않다는 걸 증명한다. 그건 시대가 달라져서도, 사회가 달라져서도 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사람이 달라져서인 것이다. 즉, 이 시대의 결혼은 분명 남과 여의 결합이지만, 그 남과 여는 각자의 삶과 주관이 분명한 개인들의 결합이라 드라마는 말한다.

그래서 우수지(이솜 분)가 너무 좋아 그녀가 쏘아대는 화살마저도 내가 맞고 그녀가 조금 편해졌으면 하는 마상구(박병은 분)는 사랑하는 그녀에게 '우리가 함께하면 다 해결될 거야'라는 고백 대신, 세상에 상처받고 자신의 19호실에 갇혀있는 수지가 당당하게 세상 밖으로 나와 싸우기를 독려하고 자신이 그 응원군이 기꺼이 될 꺼라 말한다. 분명 '함께'이지만 두루뭉술한 집단이 아니라, 각자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의 '결합'을 전제한 고백이다.

드라마 속 전직(?) 드라마 작가인 지호는 바로 이런 자신들의 처지를 도리스 레싱의 <19호실로 가다>를 통해 빗대어 설명한다. 가사노동에 지친 한 여성이 자신만의 '공간'을 얻기 위해 기꺼이 불륜의 오해조차 감내한다는 이 파격적인 이야기는 이 시대 자신의 삶을 올곧이 살아내는 개인들의 현실을 절묘하게 상징해 낸다.

tvN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자신의 집에 집착하는 세희, 자신이 머물 방이 필요했던 지호가 그 자신들의 '공간'이 필요해 전 시대의 유산이라 할 '결혼 제도'를 이용하는 장치는 그래서 더 상징적이다. 그런데 이제 그 공간을 공유한 그들은 서로로 인해 마음속의 공간이 생겨 사랑이 싹트기 시작했다.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로코의 형식을 띠지만 21세기의 실존을 적나라하게 담보해 내고 있기에 그 '로코'의 과정조차 녹록치 않다.

'사랑하다 보면, 그 사람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무엇인가 모르는 구석이 생긴다. 나의 세계 속에서 자라는 상대가 점점 울창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아니 이것은 내가 상대의 세계로 더 깊이 걸어들어왔다는 뜻이다. 사랑의 세계에서 공간은 늘 광장처럼 드넓다.’

그 흔한 삼각관계의 등장, 12년 전 세희와 동거를 하고 아이까지 가졌던 고정민(이청하 분)의 대두는 남세희와 윤지호의 사랑 전선에 위기를 불러온다. 하지만, 드라마는 이 긴장을 통해 오히려 그간 두 사람 각자의 19호실의 방문을 열어젖힌다. ‘방문객’이란 시집 속에 갈피처럼 끼워 넣은 고정민의 영원히 사랑 같은 건 하지 말라던 그 명제에서 세희는 비로소 깨어나기 시작했으며, 지호는 그간 묻어두었던 작가의 꿈을, 아니 작가를 하기 위해 겪었던 고통을 꺼내들기 시작했다.

이제 2회차를 남긴 드라마는 그래서 뜻밖에도 '함께'하기 위해 ‘각자’ 해결해야 할 과제에 주인공들이 무거워진다. 그 각자 자신의 방 속에 묵혀둔 그 짐보따리를 풀어내고 나서야, 이들은 자신의 19호실을 나와 함께할 '공간'으로 걸어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이번 생은 처음이라>가 각자의 '자존'과 '실존'이 우선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권하는 사랑과 결혼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