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 가족의 정의에 이보다 더 어울리는 게 있을까? 일찍이 레프 톨스토이는 그의 명작 <안나 카레니나>에서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제각기 다르다'라 했다. 그 가정, 혹은 가족의 불행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아마도 그건 각 사회가 규정하고 있는 바, 가족 혹은 가족 구성원에게 성문법이 아니지만 성문법만큼 강고하게 강제되는 역할에 있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20세기를 지나 21세기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 가족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가장'으로서의 아버지, '현모양처'로서의 어머니, 그리고 그에 부응하여 '공부 잘 해서 입신양명에 애쓰는 말 잘 듣는 자식들'일 것이다. 10월 15일 방영된 KBS 드라마 스페셜 <나쁜 가족들>은 제목 그대로, 바로 이 역할에 가장 '나쁜 케이스'의 집합체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드라마 스페셜>의 명작으로 회자되는 <빨간 선생님>, <개인주의자 지영씨>를 쓴권혜지 작가의 신작이다. 85년을 배경으로 선생님과 제자의 갈등을 시대적 유감으로 풀어낸 <빨간 선생님>이나, 오피스텔의 '개인주의'를 현대 사회 고립된 개인의 뿌리 깊은 사연으로 풀어낸 작품들처럼, 역시나 만만치 않은 사연을 그러나 그저 무겁지만 않게 그려낸다.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는 가족

2017 KBS 드라마 스페셜 <나쁜 가족들> 편

<나쁜 가족들>은 지금부터 6년 전, 이제 갓 청소년이 된 나나(홍서영 분)네 가족에게 생긴 일로부터 시작된다. 아빠와 엄마, 그리고 나나는 의가사 제대를 하게 된 오빠 민국(송지호 분)을 데리러 간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엄마와 아빠의 '부부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김정국(이준혁 분)씨와 박명화(신은경 분)씨는 미로에 빠지고 만다. 머리에 붕대를 감고 나온 오빠, 그 오빠를 물고 빨고 하는 할머니, 그런 할머니를 질색하면서도 어쩌지 못하는 오빠, 그리고 그저 난처해하며 실랑이를 벌이는 가족들.

그리고 6년 후, 다시 가족은 나나의 자퇴 문제로 한자리에 모인다. 그런데 모인 곳이 뜻밖에도 경찰서다. 도망치는 나나의 머리끄덩이를 잡다 청소년 학대 혐의로 온 가족이 호출 받은 것이다. 그런데 이 가족, 가관이다. 담임 선생님이 나나의 자퇴를 의논하고자 전화를 건 순간 아버지 김정국 씨는 '노조 투쟁'을 하느라 아니, 딸이라도 자신의 일은 자신이 알아서 결정하라며 전화를 끊는다. 딸의 머리끄덩이를 잡고 딸의 남친에게 돈을 주면서까지 이별을 회유하며 적극적인 엄마는 뜻밖에도 호시탐탐 바람 한번 펴보는 게 소원인 막장 엄마다. 심지어 경찰서를 찾아온 나나를 보호해야 할 담임이 바로 전날 엄마랑 은밀한 문자를 주고받던 그 문제의 남자(?)다. 오빠는 다를까? 할머니만 오면 줄행랑을 치는 오빠는 '의가사 제대' 이후 무위도식의 경지에 빠져있다.

2017 KBS 드라마 스페셜 <나쁜 가족들> 편

말 안 듣는 제자와 선생님의 갈등을 '시대의 풍경'으로 풀어낸 <빨간 선생님>처럼, <나쁜 가족들>은 해체 일보 직전의 가족들을 내세우며 21세기 가족의 현실을 짚어간다. 가장이어야 할 아버지 김정국 씨는 홀어머니의 지극한 편애의 반발로 '가장'임을 방기한 채, 노조 활동에 매몰된다. 학창시절 사고를 쳐서 엄마가 되어버린 박명화 씨 역시 굴레다. 청소년 시절 사고 쳐서 엄마가 된 그녀에겐 연애라 쓰고 '다른 남자랑 한번 자보는 게' 소원이고, 가족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부산으로의 발령을 자청할 정도다. 이들 부부를 보면, 이 가족을 마주한 경찰이나 선생님의 표정에서 드러나듯 부모가 이 모양인데 아이들이 오죽할까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청소년 시절 사고를 쳐서 '인지'도 하기 전에 부모가 되어버린 김정국 씨와 박명화 씨가 맞닥뜨린 부모, 가족의 현실은 만만치 않다. 할머니의 과잉 보살핌으로 품안의 자식으로 자라난 아들은 서울대 법대를 갔지만 군대 폭력으로 의가사 제대를 하고 현실 부적응자가 되었다. 청소년이 된 그때부터 부모님께 왜 결혼을 했냐고 도발적 질문을 던지던 나나는 ‘내 인생은 내 꺼’라며 자퇴와 가출, 가족으로부터의 탈출을 꿈꾼다.

부모 같지 않은 김정국, 박명화 씨의 행태를 보며 차라리 이혼을 하는 게 낫다며 나나는 도발적 조언을 했지만, 그래도 나나의 자퇴만을 막아보겠다는 김정국, 박명화 씨는 가족으로 거듭나는 선택을 한다.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방기했던 김정국 씨는 아들의 취업과 노조위원장 자리를 바꾸며 아버지 되기를 선택하고, 부산으로의 탈출을 꿈꾸던 엄마는 어떻게든 나나를 졸업시키기 위해 눈물의 휴직을 감내한다. 이른바 우리 사회가 규정하는 아빠되기와 엄마되기에 자신을 '희생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연히 부부의 헌신(?)은 물거품이 되고 다시 가족은 경찰서에 나란히 앉는 신세가 된다.

21세기 가족을 묻다

2017 KBS 드라마 스페셜 <나쁜 가족들> 편

결국은 실패한 이 부부의 '가족되기 해프닝'은 역설적으로 오늘날 가족으로 살아가는 방식을 묻는다. 시어머니의 그 길고 긴 레퍼토리, 내 인생 희생해서 너희들을 키웠다는 그 징한 역사의 방식을 답습했지만 실패하고만 김정국, 박명화씨의 부모되기를 통해, 자기희생 위에 견고한 성채를 쌓아온 우리 사회 가족 제도를 근본에서부터 회의한다.

이 짧은 드라마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씬. 전혀 가족 같지 않은 이들이 한 차에 어쩔 수 없이 끼어 앉은 이 장면이야말로 피하고 도망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우리 사회 가족의 처지를 적나라하게 상징한다. 음주운전을 피하기 위해 자리를 바꿔보려 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마는 장면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서로의 처지와 책임이 부가되는 가족의 현장이다. 그리고 거기서 도망쳐버린 엄마가, 다음날 호텔 시어머니 칠순잔치 현장에서 하룻밤을 함께 보낸 선생님과 마주친 가족들과의 상면은 드라마의 갈등을 '불꽃놀이'처럼 점화한다.

2017 KBS 드라마 스페셜 <나쁜 가족들> 편

결국 알량한 부모의 위신이나 희생을 향한 억지 노력마저도 수포로 돌아간 후, 비로소 부모들은 솔직해진다. 자신들 역시 아직은 '어른답지 않음'을. 부모로 시간을 보냈지만 여전히 부모로서 자신이 없음을. 그리고 부모라는 정해진 틀에 가두기엔 자신들의 삶에 대한 욕구가 너무도 가열참을. 이 사회가 제시한 부모라는 '제복'에 맞추기엔 너무도 자유분방하게 커져버린 개인으로서의 삶을.

그럼에도 <나쁜 가족들>은 비관주의에 허우적거리지 않는다. 군대 내 폭력, 노조 투쟁 그리고 섹스리스 부부 문제, 히키코모리에 가출 청소년 문제 등 심각한 우리 사회의 문제들이 김정국 씨 가족들을 통해 나열되지만, 오히려 드라마의 결론은 '불꽃놀이 축제'의 결말처럼 훈훈하다. 들여다보면 비극이지만, 어쩌면 가족이란 테두리에서 해결을 모색해보면 안 될 것도 없다며 드라마는 '사회가 끼워준 색안경'을 벗어버린다.

애써 작아진 가족이란 제도에 끼워 맞추기보다, 각자 자신의 현실을 솔직하게 토로하고 '인정'하는 것으로 가족은 새로이 시작한다. 자식을 위합네하며 억지 부장 역할 대신 원하던 노조로 돌아간 아빠. 군대 폭력의 트라우마를 떨친 채 이제 드디어 숟가락 얹는 생활을 마무리할 준비를 하는 오빠. 원하던 자유를 찾아 떠나는 엄마. 그리고 자퇴를 하고 방황을 하기 위해 가방을 짊어진 딸. 그렇게 사회가 원하는 가족의 역할은 아니지만, 각자의 삶을 사는 것으로 이 가족은 '기사회생'한다. 그리고 이것이 ‘21세기 가족의 생존기'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